본문 바로가기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COUNT 함수 사용법과 실제 활용 예시

방방곡곡탐방 발행일 : 2023-11-16

COUNT 함수는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사용되는 함수 중 하나로, 범위 내에 있는 셀의 개수를 세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COUNT 함수는 숫자, 날짜 또는 텍스트 값 등 어떤 값이든 해당 범위에 존재하는지 검색하고 개수를 반환합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총량이나 유효한 값을 찾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문 목록이 저장된 테이블에서 특정 상품의 주문 개수를 알고 싶을 때 COUN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데이터 정리 작업에서도 활용 가능하며, 중복 제거, 누락된 데이터 검색 등 다양한 분석에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스프레드시트의 COUNT 함수 사용법과 실제 활용 예시

1. COUNT 함수란?

COUNT 함수는 특정 열에서 값이 존재하는 행의 개수를 세는 함수이다. COUNT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매우 중요한 함수 중 하나로서, 특히 데이터 수집 및 분석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 함수는 숫자가 아닌 값인 NULL도 세는 특징이 있다. COUNT 함수는 테이블이나 열 이름 뒤에 사용되며, 결과 값은 숫자로 반환된다. COUNT 함수는 주로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값을 찾을 때 사용되며, 특정 조건에 맞는 행의 개수를 알아낼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2. COUNT 함수의 문법과 사용 방법

COUNT 함수는 SQL에서 가장 기본적이고 자주 사용되는 집계 함수 중 하나로, 주어진 열의 행 수를 반환하는 함수입니다. COUNT 함수의 문법과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문법:
COUNT(열 또는 표현식)

사용 방법:
1. 열을 지정하여 사용하는 경우:
- COUNT(*) : 테이블의 전체 행 수를 반환합니다.
- COUNT(열) : 특정 열에 있는 값들 중 NULL이 아닌 행의 수를 반환합니다.

2. 표현식을 사용하는 경우:
- COUNT(표현식) : 주어진 표현식이나 조건을 만족하는 행의 수를 반환합니다.

COUNT 함수는 SELECT 문의 SELECT 절이나 HAVING 절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주로 테이블이나 뷰 등의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대상으로 하여 행의 수를 계산할 때 사용됩니다.

예시:
1. SELECT COUNT(*) FROM 테이블명;
- 테이블명에 해당하는 테이블의 전체 행 수를 반환합니다.

2. SELECT COUNT(열) FROM 테이블명;
- 테이블명에 해당하는 테이블에서 열에 NULL이 아닌 값이 있는 행의 수를 반환합니다.

3. SELECT COUNT(표현식) FROM 테이블명 WHERE 조건;
- 테이블명에 해당하는 테이블에서 조건을 만족하는 행의 수를 반환합니다.

COUNT 함수는 간단하고 유용한 함수이며, 데이터의 수를 세는데 자주 활용되므로 기본적인 사용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COUNT 함수의 활용 예시: 데이터 개수 세기

COUNT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함수입니다. 이 함수는 다양한 상황에서 활용될 수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은 예시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됩니다:

1.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경우: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쉽게 세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주문 테이블에서 주문 상태가 '배송 완료'인 주문의 개수를 세어라"라는 요구사항이 있다면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주문 상태가 '배송 완료'인 주문의 개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2. 특정 값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경우: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값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싶을 때에도 COUNT 함수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객 테이블에서 휴대폰 번호가 '010-1234-5678'인 고객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싶다"라는 요구사항이 있다면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해당 휴대폰 번호를 가진 고객의 개수를 세어보면 됩니다. 개수가 0이면 해당 휴대폰 번호를 가진 고객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고, 개수가 1 이상이면 해당 휴대폰 번호를 가진 고객이 존재하는 것입니다.

3. 중복 값을 제외하고 유일한 값의 개수를 세는 경우:
COUNT 함수는 중복 값을 제외하고 유일한 값의 개수를 세는 것에도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문 테이블에서 중복되지 않는 고객의 수를 세어라"라는 요구사항이 있다면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중복을 제외한 고객의 수를 찾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주문 테이블에서 중복된 데이터를 분리하고, 실제로 고객 수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COUNT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다양한 상황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함수입니다.

4. COUNT 함수의 활용 예시: 중복 데이터 개수 세기

COUNT 함수는 SQL을 사용하여 중복 데이터 개수를 세는데 활용할 수 있다. 중복 데이터란 동일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학생들의 성적을 나타내는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테이블에는 학생의 이름과 성적이 저장되어 있다. 이때, 동일한 성적을 받은 학생이 몇 명인지를 확인하고 싶다면 COUNT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테이블이 있다고 가정하자.

| 학생 이름 | 성적 |
| --------- | ---- |
| 사라 | 90 |
| 존 | 80 |
| 데이빗 | 90 |
| 마이크 | 70 |
| 사라 | 80 |

위의 테이블에서 동일한 성적을 받은 학생의 수를 세기 위해 COUNT 함수를 사용할 수 있다. SQL 쿼리는 다음과 같다.

SELECT 성적, COUNT(*) FROM 테이블명
GROUP BY 성적

이 쿼리를 실행하면, 동일한 성적을 받은 학생의 개수가 세어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의 테이블에서 동일한 성적을 받은 학생의 개수는 다음과 같다.

| 성적 | COUNT(*) |
| ---- | -------- |
| 90 | 2 |
| 80 | 2 |
| 70 | 1 |

즉, 성적이 90인 학생은 2명, 성적이 80인 학생은 2명, 성적이 70인 학생은 1명이라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5. COUNT 함수의 활용 예시: 조건에 맞는 데이터 개수 세기

COUNT 함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의 개수를 세기 위해 사용됩니다. 조건에 따라 데이터 개수를 세는 다양한 예시를 살펴보겠습니다.

1. 주문 테이블에서 상품의 개수 세기:
주문 테이블에서 상품이 몇 개인지 세고 싶을 때 COUN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상품ID' 열이 NULL이 아닌 경우를 조건으로 설정하여 COUNT 함수를 적용하면 주문된 상품의 개수를 알 수 있습니다.

2. 학생 성적 테이블에서 특정 과목의 성적 개수 세기:
학생 성적 테이블에서 특정 과목의 성적이 몇 번 등장하는지 알고 싶을 때 COUN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과목' 열이 '수학'인 경우를 조건으로 설정하여 COUNT 함수를 적용하면 수학 성적을 받은 학생의 수를 알 수 있습니다.

3.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서 특정 지역의 사용자 개수 세기:
사용자 정보 테이블에서 특정 지역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수를 알고 싶을 때 COUNT 함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거주지역' 열이 '서울'인 경우를 조건으로 설정하여 COUNT 함수를 적용하면 서울에 거주하는 사용자의 수를 알 수 있습니다.

COUNT 함수를 활용하면 데이터베이스에서 특정 조건에 맞는 데이터의 개수를 간편하게 세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조건에 맞게 COUNT 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개수를 세는 것이 가능합니다.

 

관련 유튜브 영상

조건에 맞는 사람 수 구하기(구글시트 COUNTA,COUNTIF함수)[함수사용법]
 
연관 검색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