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97 구글 스프레드시트 화살표 제거하는 방법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화살표를 제거하는 방법은 간단합니다. 먼저 제거하려는 셀을 선택한 다음, "데이터 유형" 메뉴를 클릭하고 "도구 모음"을 선택합니다. 나타나는 팝업 창에서 "산식" 섹션으로 이동하고 "수식" 내에서 "문자열로 변환"을 클릭합니다. 이렇게 하면 선택한 셀에 있는 모든 수식이 문자열로 변환되고 화살표가 자동으로 제거됩니다. 화살표가 제거된 후에 필요한 경우 다시 원래의 수식으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면 화살표를 제거하여 데이터를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습니다. Contents 01 화살표 스타일 변경하기 02 화살표 셀에 숨기기 옵션 사용하기 03 필요없는 화살표 삭제하기 04 화살표 셀 서식 제거하기 05 스프레드시트에서 화살표 사용하지 않기 1. 화살표 스타일 변경하기.. 구글/구글 스프레드시트 2023. 12. 6. 더보기 ›› 구글 스프레드시트 함수 subtotal의 사용법과 예제 설명 구글 스프레드시트 함수 중 subtotal은 데이터베이스나 테이블의 부분 합계를 계산하는데 사용됩니다. 이 함수는 지정된 범위에 있는 수치 데이터의 합계 또는 평균, 최댓값 또는 최솟값을 계산하며, 필터링된 데이터를 고려합니다. 예를 들어 subtotal 함수를 사용하여 특정 기준을 충족하는 세부 사항의 합계 또는 평균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함수의 첫 번째 인수는 계산 방법을 나타내는 숫자 코드이며, 두 번째 인수는 계산할 범위입니다. subtotal 함수는 데이터 정렬과 필터링을 고려하므로, 제외된 셀이나 필터링된 행은 계산에서 제외됩니다. 즉, subtotal 함수는 데이터 가시성을 기반으로 계산을 수행하여 유용한 통계 정보를 제공합니다. Contents 01 subtotal 함수란? 02 su.. 구글/구글 스프레드시트 2023. 12. 6. 더보기 ›› 구글 스프레드시트 단축키 모음표 효율적인 스프레드시트 작업을 위한 필수 단축키 가이드 사용자들이 스프레드시트 작업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다양한 단축키들을 소개하고 설명합니다. 간단하고 명확한 구성으로, 이 글은 사용자들이 스프레드시트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Contents 01 셀 선택과 이동 단축키 02 데이터 입력과 편집 단축키 03 공식 입력과 계산 단축키 04 셀 서식 및 스타일 단축키 05 시트 및 파일 관리 단축키 1. 셀 선택과 이동 단축키 셀 선택과 이동 단축키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에서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축키입니다. 다음은 셀 선택과 이동 단축키의 내용입니다: 1. 화살표 키: 이동키(←, →, ↑, ↓)를 사용하여 현재 선택된 셀을 기준으로 상하좌우로 셀을 이동할 수 있습니.. 구글/구글 스프레드시트 2023. 12. 6. 더보기 ›› 구글 스프레드시트 평균값 반올림하는 방법 소개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평균값을 반올림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평균을 구하려는 열에 평균을 계산하고 싶은 범위를 지정합니다. 그런 다음, 평균값을 표시할 다른 셀을 선택합니다. 평균값을 표시할 셀에서 "평균" 또는 "AVERAGE" 함수를 입력한 다음, 괄호 안에 평균을 계산하려는 범위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평균(A1:A10)"과 같이 입력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평균값이 나타내는 소수점 자릿수를 원하는 만큼 지정하기 위해 반올림 함수인 "ROUND" 함수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ROUND(평균(A1:A10), 2)"와 같이 입력하면, 평균값이 소수점 둘째 자리까지 반올림하여 표시됩니다. 이렇게하면 구글 스프레드시트에서 평균값을 반올림할 수 있습니다. Contents 01.. 구글/구글 스프레드시트 2023. 12. 6. 더보기 ›› 구글 스프레드시트 IF 함수 활용 값이 있는 경우에 대한 조건 처리 IF 함수를 활용한 값이 있는 경우의 조건 처리는 데이터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정확한 처리를 위해 중요합니다. 값이 있으면 정해진 조건에 맞게 처리하고, 없을 경우에는 다른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완정성과 정확성을 유지하며,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합니다. IF 함수는 논리식과 참인 경우와 거짓인 경우를 지정해주어 데이터 처리 과정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Contents 01 값이 있는 경우 실행할 동작 02 값이 있는 경우에만 실행되는 조건 처리 03 값이 있는 경우에 대한 처리 방법 04 값이 있을 때에 대한 IF 함수 활용 1. 값이 있는 경우 실행할 동작 - 값이 있는 경우, 해당 값을 이용하여 계산이나 처리 작업을 수행한다. - 값을 변수에 저장하거나 다른.. 구글/구글 스프레드시트 2023. 12. 6. 더보기 ›› 이전 1 ··· 10 11 12 13 14 15 16 ··· 100 다음